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오픈AI CEO 샘올트먼 추진 월드코인(WorldCoin) 분석

by 디스이즈데브 2025. 10. 11.

가상화폐 이미지

 

오늘은 지난번 오피셜트럼프 코인에 이어 오픈AI 최고경영자 샘올트먼이 추진하는 것으로 유명한 월드코인에 대해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ylsis)을 공부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검색을 통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보니 사실과 다들 수 있어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참고로 코인분석은 보통 두 가지로 이루어지며 가격 차트와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가격 움직임 및 시장 심리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과  ‘이 코인이 장기적으로 가치를 만들 근거가 있는가?’를 따져서 분석하는 방식인 기본적 분석이 있습니다. 오늘은 월드코인에 대한 기본적 분석 내용입니다.

 

참고로 이전 오피셜 트럼프 코인에 대한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부탁드립니다.

2025.10.09 - [투자공부] - 오피셜트럼프 코인 분석

 

오피셜트럼프 코인 분석

코인 분석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바로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과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입니다. 우선 기술적 분석은 가격 차트와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가

thisisdevelop.com

 

1. 프로젝트 개요

1)프로젝트명: World (구 Worldcoin) — World Network

2)토큰명 / 심볼: Worldcoin (WLD)

3)블록체인 네트워크: Ethereum 기반 ERC-20 / 자체 World Chain (OP Stack 기반 L2) — 가스 토큰은 ETH

4)출시일: 2023년 7월 24일 (프로토콜 및 토큰 공식 출시)

5)프로젝트 분류: 디지털 ID(Proof-of-Human / World ID) + L2 인프라(OP Stack) + 결제/지갑 애플리케이션 (World App)

 

한 줄 요약: 생체 인식 기반의 프라이버시 중심 Proof-of-Personhood(인간 인증) 네트워크로, WLD 토큰과 World Chain L2를 통해 실사용자 중심의 신원 검증 및 결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

 

2. 문제 정의 및 해결 방향 (Use Case)

1)해결하려는 문제:

인터넷과 AI의 발전으로 ‘인간과 봇’을 구별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투표·에어드롭·온라인 활동 등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인간 인증(Proof-of-Human) 수단이 필요함.

2)해결 방식:

World는 전용 하드웨어(Orb) 로 사용자의 홍채 생체 정보를 스캔하고, 이를 영지식증명(ZKP) 기술로 익명화하여 World ID를 발급함.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앱에서 “인간 인증”을 증명할 수 있음.

일부 지역에서는 WLD 토큰 보상을 수령할 수 있음.

3)경쟁력:

맞춤형 하드웨어 + ZK 프라이버시 구조로 높은 보안성과 익명성 확보

World Chain (OP Stack L2) 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거래를 우선 처리

감사(Audit) 보고서 공개로 기술적 투명성 보장

4)핵심 차별점 요약:

전 세계 규모의 생체 기반 인간 인증

프라이버시 중심 설계 (기기 내 데이터 삭제, 영지식증명)

인간 중심 트랜잭션 우선 처리 L2 네트워크

WLD 사용자 분배 중심 토큰 설계

 

3. 팀 및 거버넌스

1)핵심 인물 및 배경:

공동 창립자 Alex Blania, Sam Altman(OpenAI CEO), Max Novendstern.

개발사 Tools for Humanity (TFH) 가 핵심 개발 주체이며, Altman은 의장, Blania는 CEO로 활동 중.

2)투자자 및 파트너:

2023년 5월 Series C 1억1,500만 달러 조달 (Blockchain Capital, a16z crypto, Bain Capital Crypto 등 참여)

2025년 5월 a16z 및 Bain Capital Crypto가 1억3,500만 달러 규모 WLD 매입

3)거버넌스 구조:

World Foundation이 프로토콜 운영을 관리하며, 향후 탈중앙화된 커뮤니티 거버넌스로 전환 예정.

WLD 토큰은 거버넌스 참여 수단으로 사용될 계획.

4)프로젝트 투명성:

백서, 기술 로드맵(Tech Tree), 보안 감사 보고서, 토큰 분배·언락 일정 등 공개 자료 및 블로그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제공.

 

4. 토크노믹스

1)총 공급량: 100억 WLD (출시 후 15년간 고정)

→ 15년 이후 연 최대 1.5% 인플레이션 허용 가능 (거버넌스 결정 사항)

2)유통량 (2025년 10월 기준): 약 21.8억~22억 WLD

3)분배 구조:

-60% 이상: 사용자 배분

-10% 이하: 네트워크 운영

-5% 이하: 생태계 펀드

-나머지: TFH 팀 및 초기 투자자 (장기 락업 적용)

4)베스팅 일정:

2024년 7월 기준, 팀·투자자 락업 3년 → 5년으로 연장.

1년간 전송 불가, 이후 2~5년차 동안 일일 선형 언락, 대부분 2028년 7월 종료 예정.

5)인플레이션 / 소각 메커니즘:

초기 15년 동안 고정 공급, 이후 연간 최대 1.5% 인플레이션 가능.

소각 메커니즘은 없음.

6)스테이킹 / 보상:

WLD 자체 스테이킹 기능은 없음.

일부 지역에서 World ID 인증 사용자에게 토큰 지급(Grant) 방식 존재.

7)공급 압력 요인:

지속적인 사용자 보상 분배(Grant)

팀 및 투자자 언락(2028년까지 지속)

기관 투자자 대상 판매 프로그램(2024년 등)

[추측] 2025~2028년 사이 유통량 증가의 주된 요인은 사용자 분배 및 팀·투자자 언락임.

 

5. 네트워크 효과 및 채택 현황

1)활성 지갑 수:

2025년 7월 기준 World App 누적 사용자 3,000만 명 달성.

2)일일 거래량:

World Chain은 OP Stack 기반 L2 중 인간 사용자 거래(UOPS) 비율이 높은 구조.

3)개발자 활동:

world-id-contracts, world-id-state-bridge 등 공식 깃허브 저장소가 2025년 10월까지 활발히 커밋 중.

4)파트너십 / 생태계 성장:

World App Mini Apps 생태계 500개 이상 (2025년 기준)

미국 내 출시(2025년 5월) — Stripe 결제 통합, Visa 직불카드 계획 발표

5)TVL / 유동성:

World Chain TVL 약 8,000만~9,000만 달러

WLD 스테이킹 프로그램은 없음

6)커뮤니티 규모:

160개국 이상에서 운영 중, 정기적인 블로그 및 개발자 보상 프로그램(Dev Rewards) 활성화.

 

6. 보안 및 탈중앙화

1)밸리데이터 / 시퀀서 구조:

현재 World Chain은 단일 시퀀서(Sequencer) 구조로, Alchemy 인프라에 의존함 → 중앙화 수준 높음.

2)스마트 컨트랙트 감사:

Nethermind, Least Authority 감사 완료 (2023년 7월 공개).

3)브리지 / 오라클 리스크:

OP Stack Superchain 브리지 및 World ID State Bridge 사용.

일반적인 L2 브리지 위험(업그레이드 권한, 메세지 전달 오류 등) 존재.

4)보안 이슈:

스마트 계약 해킹 사례 없음.

단, 2024년 홍콩 개인정보보호위원회(PCPD) 제재로 일부 지역 서비스 중단 사례 존재.

 

7. 최근 주요 뉴스

1) 2025년 9월 26일자 Coinspeaker Korea 기사 「오픈AI 공동 설립 월드코인(WLD) 전망 – 월드코인 시세 및 가격 분석」에 따르면, 월드코인(WLD)은 샘 알트먼이 공동 설립한 홍채 인식 기반 디지털 신원 인증 프로젝트로, 최근 업비트 상장과 거래량 급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증 사용자가 3,350만 명을 넘어서며 채택률이 높아졌지만, 중국·EU·케냐 등 규제 압박과 공급 구조 리스크가 주요 변수로 꼽힌다. 기사에서는 WLD가 2025년 1.64달러, 2026년 1.72달러, 2030년 2.09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World ID 확산과 World Chain 기술 완성도가 향후 가격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 제시됐다.

 

2) 2025년 9월 9일자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월가의 유명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웨드부시증권) 가 샘 올트먼(OpenAI CEO) 이 추진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Worldcoin) 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그는 나스닥 상장사 에잇코홀딩스 이사회 의장에 취임하며 2억5천만 달러 규모의 WLD 매입 계획을 발표했고, 이 소식으로 해당 기업의 주가가 하루 만에 3000% 폭등했다. 아이브스는 “AI 시대에는 인간임을 증명하는 인증 체계가 필수적”이라며 월드코인을 ‘AI 시대의 신원 표준’으로 평가했다. 기사에서는 그의 결정이 AI와 인간의 경계를 가르는 기술적 전환점이자, 개인정보 논란을 넘어선 새로운 투자 신호로 해석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