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실물 금에 가치가 연동되는 ‘팍스골드(PAXG)’ 코인 기본 분석

by 디스이즈데브 2025. 10. 12.

최근 들어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전 세계 투자자들의 시선이 다시금 금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 우려, 그리고 불안정한 금융 시장 속에서 안전 자산으로서의 그의 존재감이 정말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속에서, 실물 금을 블록체인 위에서 손쉽게 거래할 수 있는 토큰화 자산(Real World Asset, RWA)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고 그 중에서 최근 금값 상승세에 힘입어 가치가 주목받고 있는 팍스골드 코인에 대해 기본적인 분석(Fundamental Analysis)를 해보고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이전 샘 올트먼이 추진하는 월드코인과 트럼프 대통령 밈코인인 오피셜트럼프 코인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했던 아래 글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10.12 - [투자공부] - 실물 금에 가치가 연동되는 ‘팍스골드(PAXG)’ 코인 기본 분석

 

실물 금에 가치가 연동되는 ‘팍스골드(PAXG)’ 코인 기본 분석

최근 들어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전 세계 투자자들의 시선이 다시금 금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 우려, 그리고 불안정한 금융 시장 속에서 안전 자산으

thisisdevelop.com

2025.10.11 - [투자공부] - 오픈AI CEO 샘올트먼 추진 월드코인(WorldCoin) 분석

 

오픈AI CEO 샘올트먼 추진 월드코인(WorldCoin) 분석

오늘은 지난번 오피셜트럼프 코인에 이어 오픈AI 최고경영자 샘올트먼이 추진하는 것으로 유명한 월드코인에 대해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ylsis)을 공부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검색을 통해

thisisdevelop.com

 

 

팍스골드 추세
25.10.12기준 팍스골드 추세

 

1.프로젝트 개요

1)프로젝트명: Pax Gold

2)토큰명 / 심볼: PAX Gold / PAXG

3)블록체인 네트워크: Ethereum (ERC-20)

4)출시일: 2019년 9월 5일 (NYDFS 승인)

5)프로젝트 유형: RWA (실물자산 토큰화: 금)

 

요약:

각 PAXG는 런던 금 딜리버리 등급 금 1트로이온스에 해당하며, Paxos Trust Company가 보관·관리합니다. 월별 준비금 감사 및 금괴 단위 조회 기능을 제공합니다.

 

2. 문제 정의 및 해결책 (Use Case)

1)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실물 금은 보관·보험 비용이 높고, 결제 속도가 느리며, 분할 소유가 어렵고, 운송이 번거롭습니다.

ETF나 선물, 미배정 금(unallocated gold)은 실제 금괴에 대한 소유권을 직접 보장하지 않습니다. 

2) 해결 방법:

- 토큰화: PAXG는 1트로이온스의 금을 대표하며, 런던 소재 전문 금고에 보관됩니다. 보유자는 Paxos 신탁회사가 보관하는 금괴에 대한 법적 소유권을 가집니다. 각 토큰은 금괴 일련번호, 브랜드, 순도, 중량을 공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규제 감독: 뉴욕주 금융감독청(NYDFS)의 규제를 받는 Paxos Trust Company가 발행합니다. 월별로 감사보고서를 공개합니다.

- 기술적 구조: ERC-20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프록시 구조, 정지/보호 기능, 이체 수수료 메커니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경쟁 우위:

실물 금괴와 직접 연동된 소유권 및 즉시 상환(현금·배정금·실물금) 기능 제공.

NYDFS의 정식 규제 승인을 받은 드문 금 토큰.

금괴 단위의 투명성 확보 (일련번호·브랜드·순도·무게 공개).

[추측] 다른 경쟁 금 토큰과 비교 시, 규제 신뢰성, 상환 가능성, 온체인 결제 효율성 측면에서 우위.

 

핵심 차별점 요약:

1온스-1토큰 금괴 매핑, 규제 승인(뉴욕주), 월별 감사 보고서, 직접 상환 가능, 온체인 호환성.

 

3. 팀 및 거버넌스

1) 핵심 인물 및 배경:

Charles Cascarilla – Paxos 공동 창립자 겸 CEO.

Richmond Teo – 공동 창립자, Paxos 아시아 CEO.

2) 투자자 및 파트너:

Paxos는 규제된 신탁회사이며, PayPal, Mastercard, Mercado Libre 등과 협력(기업 레벨).

PAXG 자체의 VC 투자자는 공개 정보 없음.

금 보관 파트너: 런던 소재 Brink’s, 금 조달 파트너로 StoneX(구 INTL FCStone) 명시됨.

3) 거버넌스 구조:

중앙화된 발행자 관리 모델. DAO나 투표 거버넌스 구조 없음.

Paxos는 스마트 계약의 정지·동결·업그레이드 권한을 보유함.

4) 투명성:

월별 감사 보고서 공개 및 스마트 계약 코드 오픈소스화로 투명성 확보.

 

4. 토크노믹스

1)총 발행량: 가변적. 발행량 = 금 보유량.

2025년 10월 11일 기준, 약 306,672 PAXG (Etherscan).

2) 유통량: 총 발행량과 동일 (모든 토큰은 1:1 실물금 보유).

3) 분배 모델: Paxos 플랫폼에서 수요 기반 발행/상환 구조. 팀·VC에 대한 사전 할당 없음.

4) 베스팅 일정: 해당 없음.

5) 인플레이션/소각 메커니즘: 없음. 금 입출고에 따라 민트/번 기능만 작동.

6) 스테이킹/보상 메커니즘: 없음.

7) 공급 압력 요인: 

- 금 입출고 수요에 따른 발행/소각

- 온체인 이체 수수료

- 약관에 명시된 보관 수수료 조항(현재는 비활성화)

 

5. 네트워크 효과 및 채택 현황

1)활성 지갑 수: 약 56,895개 (Etherscan 기준).

2) 일일 거래량: 24시간 내 약 5,238건 전송 (변동적).

3) 개발 활동:

- 공개 GitHub 저장소 존재.

- ChainSecurity, CertiK 감사를 완료.

- 커밋/개발자 수치는 비공개.

4) 파트너십:

- 다수 거래소 상장 (Binance 등).

- Issuer 차원의 파트너 리스트 주기적 변경.

- TVL/유동성: 비적용 (PAXG는 자산형 토큰).

5) 시장 점유율:

- 경쟁 토큰 XAUt: 약 375,572개.

 

6. 보안 및 탈중앙화

1)검증자 분포: [추측]ERC-20 자산이므로 이더리움의 탈중앙화 수준을 상속할 것으로 추측됨

2)스마트 계약 감사:

ChainSecurity, CertiK 감사를 거침.

Paxos Standard 관련 감사에는 Trail of Bits, Nomic Labs 참여.

3)브릿지/오라클 리스크: 공식 멀티체인 버전 없음. 외부 가격피드 사용 시 제3자 리스크 가능.

4)보안 사고: PAXG 관련 스마트 계약 해킹 사례 없음.

 

7. 최근 주요 뉴스

1) 2025년 10월 8일자 서울신문의 데이터랩 기사 “밈코어 펌프 팍스골드, 1시간 상승률 상위”에서는, 암호화폐 시장 내 밈코인 중심의 급등 흐름 속에서도 팍스골드(PAXG)가 1시간 기준으로 0.27% 상승을 기록하며, 상승률 상위 종목으로 주목받았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에 따르면 팍스골드는 현재가 약 564만 6,834원 수준이며, 지난 24시간 동안 0.75% 상승하는 등 안정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다고 한다.

 

2) 블록미디어의 2025년 10월 8일자로 게재한 기사에서, 최근 금 기반 디지털자산(tokenized gold)들의 시가총액이 약 30억 달러(한화 약 4조 원)를 돌파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 보도는 외신 더블록(The Block)의 자료와 코인게코 데이터를 인용해 작성되었으며, 금 연동 토큰에는 PAXG, XAUT, KAU 등이 포함됩니다. 기사에 따르면,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투자자들이 이러한 금 기반 토큰에 대한 관심을 확대했으며, 하루 기준 거래량은 약 6억 4,000만 달러(한화 약 9,091억 원가량)에 달했다고 합니다. 또한, PAXG와 XAUT은 각각 약 4,000달러대에서 거래되며, 금 현물 가격 흐름과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되었습니다. 기사에서는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등의 요인으로 안전 자산 선호가 강화된 점을 거론하며, 이는 통화 가치 하락에 대응하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Debasement Trade)’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고 전했습니다. 더불어 비트코인(BTC)도 디지털 금 역할로 수혜를 보고 있으며, BTC/금 비율은 과거 대비 하락하여 금의 상대적 강세를 시사하고 있다는 분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